망막질환

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하세요
망막이란?
안구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투명한 신경조직으로 안구 내로 들어온 빛은 망막의 내층을 지나 망막의 시세포에 전달이 됩니다. 시세포는 빛 정보를 다시 전기적 정보로 전환하고 이 정보는 망막 내층의 세포를 통해 시신경을 지나서 뇌로 전달이 되어 사물을 볼 수 있습니다.
관련 질병
-
정상안
-
당뇨망막병증
-
망막색소상피 변성
-
망막 정맥 폐쇄
-
황방변성
-
황반주름
망막 질병 증상
-
시야가 흐릿하게 보인다.
-
사물이나 글자 등이 찌그러져 보인다.
-
욕실의 타일이나 도로의 중앙선이 굽어져 보인다.
-
사물을 봤을 때 가운데가 검은 점이 보이거나 빈 부분이 보인다.
-
예전과 달리 색이나 명암등의 대비감이 떨어져 보인다.
-
시야의 한 가운데에 영구적으로 검은 점이 보인다.
-
불빛이 희미하거나 어두울 때 사물을 알아보기 어렵다.
검사 방법
진단 및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 발견입니다. 병의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을 못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. 시력장애가 나타났을 때는 이미 초기 단계를 지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아야 병의 진행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정밀 안저 검사
안저촬영
망막 안구광학단층검사(OCT)
형광안저촬영
치료방법
-
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
조기에 치료하면 병변의 크기가 비교적 작으므로 손상을 입은 부위가 적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. -
만약 흡연을 한다면 반드시 금연
-
철저한 당뇨 조절
당뇨가 조절이 안되면 회복이 느리고 흉터가 남을 수 있습니다. -
고용량의 종합비타민
건성 황반변성에서 시력 저하를 늦춰주고 심각한 형태의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되는 것을 늦추는데 도움이 됩니다. -
국소레이저치료
중심시력 감소의 원인이 되는 황반부종에 대해서는 국소적인 레이저치료를 하면 비정상적인 혈관의 누출을 막아 더 이상의 시력감소를 예방하고, 어느 정도의 시력회복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-
유리체절제술
레이저 치료가 불가능한 견인망막박리나 유리체출혈이 합병된 경우에는 유리체절제술이 필요합니다. 유리절제술은 견인막이나 유리체 출혈로부터 시력을 회복시키고, 더 이상의 망막손상의 예방을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입니다. -
항혈관생성인자 안내주입
혈관의 출혈을 멈추게 하고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기는 것을 막는 치료입니다. 항체주사는 처음 발병 시 1달 간격으로 3회 주사를 시행하게 되며 그 이후 검사 결과 및 병의 진행 경과에 따라 추가 주사를 시행하게 됩니다. 항체 주사 치료 후 호전이 되더라도 경과 관찰을 위해 꾸준한 외래 진료가 필요하며,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 재주사가 필요합니다.